집값이 다시 오르며 그동안 양도세에 대한 부담으로 집을 팔지 못했던 매물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집을 사고 팔면 낸는 당연한 세금이지만 그 기준이 정부 정책에 따라 자주 바뀌며 양도세세율 햇갈리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양도소득세는 부동산 거래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인데요 어떤 세율이 적용되는지, 그리고 세액 공제나 면세 조건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가장 정확한 양도세세율 표 바로 보실 분들은 아래 국세청 양도세세율표 보기 클릭해 주세요
1. 양도소득세 가 뭔가요?
우선 양도소득세 간단히 정의해 볼게요 양도소득세는 주택이나 토지 등 자산을 판매했을 때 그 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인데요, 즉, 부동산 매매를 통해 얻은 차익에 대해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소득세의 일종으로 소득이 발생한 시점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2. 1가구 1주택 양도세세율 표
우리는 대부분 1가구 1주택 이잖아요? 1가구 1주택자에 해당하는 양도세세율을 알아볼게요 1가구1주택의 경우 이면서 2년이상 보유한 경우에는 양도소득세 세율이 가장 낮은데요 세율은 6%부터 시작해서 차등적으로 증가하며, 고소득자의 경우 최고 45%까지 증가하게 됩니다.
과세표준은 양도소득 금액-기본공제를 뺀 값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주택을 오래 보유하고 있었다면 그 세율에 대한 인하도 함께 받을 수 있는데요 아래 표를 확인하여 주세요
기간 | 2년이상 | 3년이상 | 4년이상 | 5년이상 | 6년이상 | 7년이상 | 8년이상 | 9년이상 | 10년이상 | 11년~20년 |
보유 | 12% | 16% | 20% | 24% | 28% | 32% | 36% | 40% | 보유기간 중2년 이상 거주한주택 (‘20.1.1이후 양도분부터) | |
거주 | 8% | 12% | 16% | 20% | 24% | 28% | 32% | 36% | 40% | 거주기간 2년이상 3년미만은 보유기간 3년이상에 한정 |
[건강 & 생활 정보] - 근로복지공단 대출 생활안정자금 요건 신청 총정리
근로복지공단 대출 생활안정자금 요건 신청 총정리
내년에 경기침체를 예상하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요즘도 실물 경기가 너무 안 좋은을 느끼는데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관심 갖고 계신 근로복지공단의 생활안정자금 대출에 대해 자세히
t1.infoplus828.com
3. 1가구 2주택 세율
이사를 계획하고 아파트를 샀지만 집값이 요동치며 미처 팔지 못한 분들도 계신데요 이럴경우 1가구 2주택의 양도세세율에 적용받게 됩니다. 1가구1주택과는 다르게 세율이 적용되는데요 이때 조정지역 대상자인지 아닌지, 보유기간이 얼마인가에 따라서도 세율이 달라집니다.
특히나 이부분에 대하여서는 정부정책에 따라 세제 정책이 달라질 수 있으니 꼭 미리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국세청 표에 따르면 2주택 이며 1년 미만 보유, 조정대상지역일 경우 70%의 엄청난 양도세세율이 적용되며 2년 미만 보유의 경우는 60%의 양도세세율이 적용 됩니다.
다만 2주택자이지만 일반지역이고 2년 이상 보유하였다면 기본세율을 적용 받게 됩니다.
2025년 현재는 2주택일 경우도 일반지역이고 1년이상 보유했다면 기본 양도세세율을 적용 받게 됩니다.
[건강 & 생활 정보] - 따라하면 KBS TV수신료 해지, 분리징수 바로 성공
따라하면 KBS TV수신료 해지, 분리징수 바로 성공
그동안 아파트 관리비에 TV수신료가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TV를 보든 보지 않든 자동으로 결제되고 있어서 몰랐는데요 TV수신료를 따로 분리징수 하거나 해지 신청하여 납부하지
t1.infoplus828.com
4. 세액 공제와 특례 면세 조건
위에 알아본 세율이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 되는 것은 아닌데요 가장 많이 적용 받을 수 있는 사례가 바로 일시적 2주택 사례 입니다.
정부에서는 일시적 2주택자에 대하여 비과세 특례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이요건에 해당되는지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주택을 처음 구매한 경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양도소득세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1세대 1주택자로 2년이상을 거주한 경우나 매매, 신축, 상속, 증여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면세 범위가 달라지고
양도세세율이 달라집니다.
5. 양도세 세금 신고 유의사항
양도소득세는 소득세로 소득이 발생한 시점에 내야하는 세금입니다. 신고는 매매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해야 하는데요, 이때 필요한 서류를 잘 준비해야 합니다. 주택이나 토지 매매 계약서, 등기부 등본 등의 서류가 필요하니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구요
집을 매매하고 난 이후 신고를 통해 세액을 계산하고, 납부를 완료해야 법적 의무를 다하는 것이니, 제대로 챙겨야 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 양도소득세는 언제 부과되나요?
A: 주택 매매가 완료된 시점에서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 부과됩니다.
Q: 내가 보유한 주택이 조정대상지역인데, 세금을 어떻게 계산하나요?
A: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다주택자 세율이 적용되므로 세액이 더 높아질 수 있어요. 정확한 계산을 위해 세무사의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거래하는 분들에게 중요한 세금인 데요 매매전 항상 최신의 정보를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집값이 조정을 보이며 매매가 힘들어 지는 상황이 올거라는데요 언제 팔고 언제 사는게 좋을지 큰 돈이 들어가는 만큼 잘 대처해야 겠습니다
'돈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 주식, 지금 사도 될까? 미래 성장성과 투자 포인트 정리 (1) | 2025.04.15 |
---|---|
퓨리오사ai 가능성은? 이재명대통령 후보 방문 (4) | 2025.04.14 |
키움증권 배당금 확인 카톡으로 해보기 (5) | 2025.04.03 |
ACE 미국중심중소형제조업 ETF 요거 확 땡기는데? (3) | 2025.01.20 |